상하좌우
여행가 A는 N ×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서 있다. 이 공간은 1 ×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.
가장 왼쪽 위 좌표는 (1, 1)이며, 가장 오른쪽 아래 좌표는 (N, N)에 해당한다.
여행가 A는 상, 하, 좌,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, 시작 좌표는 항상 (1, 1)이다. 우리 앞에는 여행가 A가
이동할 계획이 적힌 계획서가 놓여 있다
계획서에는 하나의 줄에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L, R, U, D 중 하나의 문자가 반복적으로 적혀있다.
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
L: 왼쪽으로 한 칸 이동
R: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
U: 위로 한 칸 이동
D: 아래로 한 칸 이동
이때 여행가 A가 N ×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을 벗어나는 움직임은 무시된다
예를 들어 (1, 1)의 위치에서 L 혹은 U를 만나면 무시된다
다음은 N = 5인 지도와 계획이다
입력
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N이 주어집니다. (1<=N<=100)
둘째 줄에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서 내용이 주어집니다. (1<=이동 횟수<=100)
출력
첫째 줄에 게임의 룰에 맞게 선택한 카드에 적힌 숫자를 출력
입력 예시
5
R R R U D D
출력 예시
3 4
풀이
움직임을 3개의 리스트에 나눠담아, 명령에 맞춰 움직이는 코드를 작성해보았다.
사실 2,3차원을 사용해볼까 생각해보기도 했는데 이 문제에서는 그게 더 복잡해지는 것같아 아래처럼 해결하였다.
답지 풀이에서는
data = list(map(str, input().split()))
가 아니라
plans = input.split()
로만 받아왔던데 리스트를 그냥 저렇게 받아올 수 있는 줄은 몰랐다.
그리고 큰 차이는 없겠지만 메모리상 x,y를 리스트로 받아오면 부를때 전체를 호출해야하므로 int변수를 따로 사용하는 것이 더 괜찮은 선택이지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했다.
코드
n = int(input())
location = [1,1]
move_c =['L','R','U','D']
move_x = [0,0,-1,1]
move_y = [-1,1,0,0]
data = list(map(str, input().split()))
for j in range(len(data)):
a = data[j]
for i in range(len(move_c)):
if a == move_c[i]:
nx = location[0] + move_x[i]
ny = location[1] + move_y[i]
if 0<nx<=n and 0<ny<=n:
location[0] = nx
location[1] = ny
print(location[0], location[1])
'Algorithm >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실전/구현) 왕실의 나이트 (0) | 2023.05.30 |
---|---|
(예제/ 구현) 시각 (0) | 2023.05.30 |
(유형별 기출/그리디) 볼링공 고르기 (0) | 2023.05.25 |
(유형별 기출/그리디) 만들 수 없는 금액 (0) | 2023.05.25 |
(유형별 기출/그리디) 문자열 뒤집기 (0) | 2023.05.25 |